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omebrew
- react
- Video
- 채널톡
- DRM
- brew
- yarn classic
- mysql설정
- 커스텀훅
- ReactJS
- shaka player
- 환경설정
- 버추어박스
- Yarn
- node
- 세팅
- 비디오플레이어
- Next.js
- 개발세팅
- nextjs
- shaka
- React.js
- VirtualBox
- npm
- 프론트엔드
- yarn berry
- MAC
- Today
- Total
목록Yarn (2)
코딩 요정 버터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fqyP/btsCwOhsnaY/JhCKKhDxOQAnQBXXePxybk/img.png)
들어가기전에 앞서... 기존 회사에서 관리하는 프로젝트들은 패키지 매니저를 yarn classIc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yarn classic 은 yarn 의 1.x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본격적인 마이그레이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전 왜 yarn berry 로 버전 업을 했는지에 대해서 설명하려고한다. 굳이 볼 필요는 없다. yarn classic과 차이점 yarn berry는 종속성을 설치하고 해결하기 위해 PnP(Plug'n'Play)라는 기능을 사용한다. 특히, node_modules 폴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주요 차이점 중 하나이다. node_modules은 폴더(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존성을 검색하며 굉장히 비효율적으로 동작하는데, 이는 yarn classic 뿐만 아니라 npm에서도 해..
프로젝트를 정리하기 위해 맥북에 개발환경 설정을 하다가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설치 방법을 정리. Homebrew 설치 맥에서 개발환경 세팅을 할 때 가장 먼저 설치해야 할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이다. Homebrew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면 바로 밑의 명령어가 뜬다. 혹시 궁금하면 접속해보자 -> https://brew.sh/index_ko 터미널을 켜고 터미널에 붙여넣기한다 .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node, npm 설치 homebrew를 설치 후 아래 명령어를 통해 설치한다. brew install node 설치가 완료되면 제대로 설치가 되었는지 버전..